본문 바로가기
S&P500

엣시 (ETSY) 주가 전망, 창의력이 무한한 곳

by 에센피 2023. 7. 21.
반응형

미국의 웹 2.0 기반 전자상거래 사이트로, 로버트 칼린이 2005년에 창업했습니다. 크리에이티브 아티스트들이 고유한 제품을 판매하고 구매자들이 독특하고 예술적인 제품을 구매하는 인기 플랫폼입니다.

 

 

 

엣시 1년 주가그래프입니다.
출처: investing.com/ 클릭 시 이동하여 시세확인 가능합니다.

 

1.  엣시 개요 

 

엣시는 미국의 웹 2.0을 기반으로 한 전자상거래 사이트로, 창업자인 로버트 칼린(Robert Kalin)이 웹 디자이너이자 목수로서 자신의 목공예품을 등록할 수 있는 특별한 웹 사이트를 원하여 2005년에 설립되었습니다.

 

엣시는 크리에이티브 아티스트들이 자신의 고유한 제품을 판매하고 구매자들이 독특하고 예술적인 제품을 구매할 수 있는 온라인 플랫폼으로 인기를 얻고 있습니다. 엣시는 수십만 개의 제품과 작품들을 보유하고 있으며, 판매자들은 자신의 작품을 업로드하고 판매 수익의 일부를 엣시에게 지불하는 형태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모델은 수많은 작가, 예술가, 공예가 등에게 창작 활동의 기회를 제공하고, 구매자들은 독특하고 예술적인 제품들을 쉽게 구매할 수 있는 플랫폼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2.  엣시 재무 

 

최근 1분기 실적을 분석하면, 엣시는 전년 대비 142% 증가한 매출과 1억 4,380만 달러의 흑자를 기록하여 좋은 실적을 보였습니다. 이러한 결과로 인해 기업의 성장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그러나 일부 리세일러들의 경우 매출 증가에도 불구하고 손실을 기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자본력의 부족과 기술 개발에 대한 부담으로 이윤 창출이 어려운 사업 구조로 변하고 있다는 우려가 있습니다.

 

엣시는 부채를 수익과 현금 흐름으로 충분히 충당할 수 있는 힘을 가지고 있지만, 총부채가 총자산을 초과하여 재정난의 위험이 높아질 수 있습니다.

 

 

3.  엣시 전망

 

전문가들과 월가에서는 엣시의 장기적인 전망에 대해 긍정적인 평가를 내놓고 있습니다. 특히 파이퍼 샌들러와 알렉산드라 스타이거 애널리스트들은 엣시의 성장 가능성과 매출 성장률, 수익성 등에 대해 긍정적인 전망을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엣시는 브라질 시장에 진출하여 라틴아메리카의 큰 전자상거래 시장에서의 입지를 강화하고자 합니다. 이러한 전망에도 불구하고, 엣시는 리세일 시장의 활기와 경쟁사들과의 시가총액 격차를 고려해야 합니다.

 

 

4.  엣시 최근이슈

 

최근 엣시는 다양한 기업들을 인수하여 사업 영역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엣시는 디팝(Depop), 리버브(Reverb), 그리고 엘로 7(Elo7)과 같은 기업들을 인수하여 다양한 시장과 제품군에 접근하고자 하는 전략을 추구하고 있습니다.

 

특히 엘로7 인수를 통해 엣시는 브라질 시장을 중심으로 더 큰 입지를 차지하고자 하며, 브라질은 전자상거래 성장 가능성이 큰 시장으로 평가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인수 활동은 엣시의 사업 영역 확대와 시장 진입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이와 같이 엣시는 자체적인 온라인 플랫폼과 다양한 인수를 통해 성장하고, 긍정적인 재무 실적과 전문가들의 긍정적인 전망을 바탕으로 지속적인 성장과 사회적 가치 창출에 노력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향후 경쟁 환경과 시장 상황에 대한 변동성을 고려하여 투자 결정을 내리는 것이 중요하며, 개별 투자자는 자신의 투자 목표와 위험 허용도를 고려하여 신중한 판단을 해야 합니다.

 

5.  엣시 요약 

 

  • 최근 1분기에는 매출이 142% 증가하고 1억 4,380만 달러의 흑자를 기록했습니다.
  •  파이퍼 샌들러와 알렉산드라 스타이거 애널리스트들은 긍정적인 전망을 제시하고 있으며, 브라질 시장 진출과 다양한 인수로 사업 영역을 확대 중입니다. 
  • 그러나 리세일 시장의 활기와 경쟁사들과의 시가총액 격차도 고려해야 합니다.

 

 

HOME

 

 

 

이 포스팅은 단순히 정보제공을 위한 것이며, 투자를 권유하는 것이 아닙니다.

반응형